전체 글 488

고창읍성 설경(20250205)

전북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산 91965년 사적 제145호으로 지정되었다.. 둘레 1,684m. 지정면적 18만 9764㎡. 모양성(牟陽城)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고창지역이 백제 때 모량부리(毛良夫里)로 불렸던 것에서 유래된 듯하다.동쪽으로 진산(鎭山)인 반등산(半登山)을 둘러싸고 있으며, 동·서·북의 세 문과 치(雉 : 성벽에서 돌출시켜 쌓은 성) 여섯 군데, 수구문 두 군데, 옹성(甕城 : 성문의 앞을 가리어 적으로부터 방어하는 작은 성)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이 읍성이 언제 축조되었는가에 대한 확실한 기록은 없고, ≪고창읍지≫나 ≪동국여지승람≫에 단순히 둘레가 3,008척, 높이가 12척이고 성안에 삼지사천(三池四泉)이라고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또한, 숙종 때 이항(李恒)이 주민의 힘을 빌려 ..

카테고리 없음 2025.02.17

춘곡정(春谷亭)(20250205)

전북 고창군 고창읍 석정리 산43-8 외정마을은 1400여년경 조양임씨 터를 처음 잡은 마을로 산으로 둘러싸인 산골이었다. 산수가 수려했던 일대는 개발로 마을이 다 사라졌다. 다만 춘곡정(春谷亭)만 상징물로 남아 있을 뿐이다.다만 이 정자에서 지은 시가 물가에 투영되는 모습과 일치해 마음을 후련하게 하고 있다. "푸른물과 푸른 산을 겸하여 다스리고 해가 뜨고 부는 바람과 갠 날의 달에 또 경영했다."는 모습이 연상된다.호수가 언저리하고 있는 이 정자는 조선말기 조양인(兆陽人)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종 2품의 벼슬)를 지냈던 춘곡(春谷) 임재환(林在煥 1852~1938)이 일제강점기였던 1929년에 세워 늘그막에 학문과 만년 휴식을 취하던 곳에 세운 정자다. 이곳 석정리는 조선 전기에 ‘승산(..

카테고리 없음 2025.02.16

왕버들숲삼태마을설경(1)(20250206)

전북 고창군 성송면 하고리 108-1● 지명유래와 풍수형국 삼태는 삼태(三台)와 고현(古県)을 합한 자연마을을 가리킨다. 마을 뒷산이 천문 별자리로 삼태성(三台星)과 같다 하여 산이름도 삼태봉(三台峯)이라 하고 마을도 ‘삼태’라고 불렀다. 그리하여 삼태성의 형국을 지닌 명당이라는 전설이 유래하고 있다.고려시대 무송(茂松)의 3정승인 윤(尹)・유(庾)・하(河)씨가 살았다 하여 삼태라고 하고, 마을 뒷산 삼태봉은 3정승의 명기지(名基址)라 한다.삼태마을은 풍수지리학상으로 떠 있는 배의 부선형국(浮船形局) 또는 행주형국(行舟形局)이라 한다. 삼태천을 중심으로 삼태마을은 두 곳으로 나뉜다. 이는 󰡔주역󰡕의 8괘(卦) 가운데 리괘(離卦 )에 해당한다. ‘리괘’는 배의 형국이다. 즉, 리괘의 초효가 삼태 마을,..

카테고리 없음 2025.02.15

《할인판매》하늘마(열매마) 번비로 고생하시는 분 열매마 꾸준히 드셔 보세요

혈관질환,위건강, 변비, 골다공증 등에 좋은 열매마로 건강을 챙기세요!!!♧열매마 할인판매가격은 택배비 포함-3kg 35천원☞32천원(3천원할인)-5kg 5만원☞45천원(5천원할인)-10kg 9만원☞8만원(1만원할인) 입니다.《섬지역 도선료 3천원 추가됨》■방송에서 보도된 하늘마(열매마)효능 관련 한번 보시지요?!?!?♡♤♧https://youtu.be/fg0t9sMdpDM?si=iPu39L0Nj_JWDYm_https://youtu.be/Hp2_etSVp2E?si=-3y--4e3-hcp_hT_https://youtu.be/4nebQdmSbyE?si=2HbvMVW0rvetsPcNhttps://youtu.be/DMtgt8c2q-w?si=NC_bipRRcW24yLu1고창이그린열매마농윈전북 고창군 고창읍 내동..

카테고리 없음 2025.02.14

정월대보름고창오거리당산제 (20250211)

전북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229-21제44회 정월대보름 고창오거리당산제가 더 큰 도약 더 좋은 고창, 변화와 성장 미래를 여는 고창을 기치로 사단법인 고창오거리당산제보존회 주관, 고창군 후원으로 2025년 2월 11일 19시 고창읍성 앞 중앙당산에서 진행되었다.※행사가 끝난 후에 촬영함오거리당산은 고창 읍내의 여섯 곳에 설치된 당산을 총칭한다. 즉, 천북동(川北洞)의 상거리당산, 모양동(牟陽洞)의 동산물당산, 신흥동 민가 사이의 하거리당산, 중앙동 오거리 도로변의 중거리당산, 고창읍성 앞의 중앙당산, 고창향교가 있는 교촌당산이다. 이곳의 당산은 당산수와 당산석으로 되어 있는 것이 전형적이지만,당산수가 베어져 당산석만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고창 오거리 당산제는 이원화되어 있다. 각 당산이 있는 마을..

카테고리 없음 2025.02.12

외정공원(20250205)

전북 고창군 고창읍 석정리 133석정휴스파 위쪽에 위치한 공원으로 춘곡정과 외정제가 있다.외정제는 수리시설이 부족하던 1910년도에 주민들이 농사에 필요한 물이 부족하다는 것을 보며 외정마을에 거주하는 조양임씨 가문에서 저수지 땅을 마을주민들에게 희사하여 마을주민들이 저수지를 축조하여 농업용수로 사용했으나주민들은 온천개발로 전원 인근으로이주하였다.

카테고리 없음 2025.02.11

신재효 고택 설경(20250205)

전북 고창군 고창읍 동리로 1001850년경 동리 신재효(申在孝) [1812~1884]가 거주했던 초가집으로 1979년 1월 23일 중요민속문화재 제39호로 지정되었다. 신재효는 원래 소리꾼이 아니라 재산이 넉넉한 중인 출신이었다. 신재효는 스무 살 무렵 고창 관아의 이방이었는데, 당시 광대라 불리던 소리꾼을 동원해 관청의 행사를 치르면서 판소리에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고창 신재효 고택은 우리나라 판소리계의 발전에 큰 공을 세운 신재효가 후학을 양성하던 곳으로서, 그 모습을 인형으로 재현하고 있다. 명인의 옛 집으로서 가치 있는 자료이며, 조선 후기 전라도 지방의 대표적인 민가의 모습을 볼 수 있다.(출처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인용)

카테고리 없음 2025.02.10